본문 바로가기
일상에 유용한 정보

안 쓰는 기프티콘 & 모바일상품권 팔기, 기프티스타

by The Unbearable Curiosity 2023. 3. 12.

안 쓰는 기프티콘 & 모바일상품권 팔기, 기프티스타 Giftista


기프티콘이나 상품권 거래할 수 있는 기프티스타라는 플랫폼을 소개할까 해요.
불편하면 길을 찾게 되어 있잖아요.
 
얼마 전에, 신세계 상품권 교환권 3만 원짜리를 모바일로 받았는데요,
모바일로 등록해서 SSG앱 같은 거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는 게 아니고, 
실제로 오프라인으로 신세계백화점에 있는 상품권샵이나, 이마트에 있는 상품권샵에 가서 교환을 해야 모바일로 이용이 가능했어요.
갈 일이 없는데 이것 때문에 매장에 가기가 귀찮았어요.

그래서 처음으로 모바일 쿠폰, 모바일 상품권 거래 플랫폼을 사용해 보게 됐어요. 
 
파는 입장에서는 원래 가격보다 조금 낮게 팔고,
또 사는 입장에서도 조금 싸게 살 수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막상 사용해 본 적은 없었어요.
 
 

판매는 앱에서만 가능

기프티스타 주소예요. 
웹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앱도 있어요.
구매는 웹에서도 가능하지만, 
판매는 앱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구매뿐 아니라 판매를 원하면 앱을 설치해야 해요.
 
https://app.giftistar.net/home

 

기프티스타 - 매일 별처럼 쏟아지는 할인 혜택

No.1 온라인 기프티콘 마켓을 만나보세요

app.giftistar.net

 
 

신규가입 후, 4만 원까지 판매 가능 

지금부터

1) 상품등록하고 판매하는 방법
2) 정산 신청하는 방법

3) 출금하는 방법을 정리해 볼게요.

 

판매하기

1. 판매탭 진입

제가 판매하고 싶은 상품을 등록하기 위해
메인 화면에서, 아래쪽 가운데 있는 '판매' 탭에 들어왔어요.

저는 이제 막 가입한 신규회원이어서 총 4만 원어치까지만 판매가 가능해요.

그리고 판매대금 정산은 48시간 안에 된다고 되어 있어요.
거래 이력이 쌓이면, 한도는 높아지고, 정산시간은 짧아지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2. ‘내 상품 등록하기’ 터치

판매 탭 안에 있는 주황색 큰 버튼, '내 상품 등록하기를 눌러요.
 


3. 입금 계좌 입력

내 상품등록하기를 눌렀을 때
아직 계좌를 입력한 적이 없다면 입금 계좌를 등록하라는 팝업창이 뜹니다.
나중에 판매대금을 돌려받을 계좌를 입력해줘야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어요.

계좌번호랑 이름 넣고, ‘저장하기’를 눌러주세요.

☑️ 여기서 주의할 것
은행이나 핀테크 앱이 아니라
계좌 점유 인증을 하지 않아요.
저도 이름 등 정보를 실수로 잘못 입력했는데 검증 없이 넘어갔었어요.
정보 틀리지 않게 한번 더 확인하세요.


4. 상품권 올리기 & 정산 방식 선택하기

이제 상품권 이미지를 불러오세요.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정보는 알아서 입력이 되어요.

 

그리고 아래 두 개 중 선택하라는 바텀시트가 올라오는데요.
'따로 설정하기'는 상품을 여러 개 올렸을 때, 판매하는 가격 설정 방식을 각각 설정하는 방식이에요.
'한 번에 설정하기'는 상품을 여러 개 올렸을 때 판매 가격 설정을 한 번에 일괄 적용 하는 방식이고요.
둘 중 원 하는 방법을 선택하면 돼요.

저는 한 개만 팔아서 어떤 걸 선택 하든 상관없었어요.



5. 판매 방식 선택하기

크게 ‘일반판매‘와 ’ 기프티판매’로 나눠져요.
간단히, 일반판매는 내가 원하는 대로 설정에서 팔 수 있고,
기프티판매는 giftistar에서 제시하는 가격과 방식으로 판매하는 거예요.

 



저는 '일반판매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서, 절차상 헷갈리지 않게 글씨색 구분했어요.

6-1. [일반 판매]

일반판매 화면이에요.

정산금액 설정 방식이 간단히 설명돼있어요.


기프티 판매가 : 말 그대로 일반 판매 방식을 취하지만 기프티 판매로 설정했을 때와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거예요.
빠른 정산가: 현재 등록된 가격 중 가장 빨리 정산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 설정되는 거예요.

                    쉽게 말하면 빨리 거래가 이루어지는 건 싼 상품이기 때문에 낮은 금액에 정산될 수 있어요.
평균 정산가 : 평균적으로 판매자가 정산받는 금액으로 바뀐다고 보시면 돼요.



'일반판매'방식에서 '기프티 판매가'를 선택해서 넘어가면 다음과 같이 떠요.


6-2. [기프티판매]

여기는 기프티 판매가예요.
위에랑 다른 건 정산 금액이 비활성화되어 있어요
즉 제가 변경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기프티스타에서 제시한 정산 금액인 거예요.
정산 시간은 판매 승인 후 48 시간 이후라고 떠요.
이 시간은 거래 횟수가 높아지면 줄어 된다고 해요.
저는 첫 거래라 48시간이네요.

여기서 확인을 누르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저는 첫 거래라 그냥 기프티에서 제시해 주는 방법으로 해 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기프티 판매가로 계속 진행했습니다.

 

판매가, 수수료 등 다 포함하면

'3만원 신세계 상품권'모바일 교환권을 팔고 26,400원을 받는 거니까  88%예요.

꼭 사용해야 하는 게 아니고, 교환하는 번거로움 생각하면, 바로 현금으로 88%만 받는 것도 저는 괜찮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만족했어요.

 


7. 판매 요청하기

이제 판매 요청하기를 눌러요.
그럼 판매금 정산 안내 팝업이 뜨고
확인을 눌러 주면 됩니다

8. 판매 주의사항 확인 후 동의

판매 관련해서 판매자가 주의해야 할 상황 관련 팝업창입니다.
동의 후 진행을 누르면 됩니다.


9. 상품 등록 완료

그러면 상품 등록이 완료 돼요.
여기까지가 등록 과정 끝이에요.



10. 판매 - 견적 발송 안내

그리고 잠깐 기다렸더니 몇 분 후에 이런 알람이 바로 떴어요.
알림 창으로 메시지가 와서 터치에서 들어갔어요





11. 판매현황 리뷰완료

견적발생 안내 메시지를 타고 들어가니, 판매현황에 '리뷰완료'탭으로 제가 올린 상품권이 옮겨져 있고,

판매 승인금액이 앞에서 봤던 정산금액과 동일했어요.
정보에 이상 없는 것 확인 후, 체크박스에 틱해서 '모두 판매승인'을 눌렀습니다



12. 판매 주의사항 동의

다시 한번 판매 주의사항 있었어요.
동의 후 진행을 눌렀어요.


13. 최종 확인창

판매 승인을 위한 마지막 확인 창이 떴어요
다시 확인을 누르면 돼요


14. 판매내역 확인

그럼 이제 판매가 된 거예요
그래서 판매내역 확인 창으로 넘어갑니다.

모바일 상품권 탭 안에 판매완료, 판매취소탭이 있고, 완료탭에 제가 판매가 상품권이 있어요.


15. 적립 금액 계정 안내

또 조금 있으니 알림 메시지가 와요.
판매 상품에 대해 적립 예정 금액을 다시 한번 알려 줘요.


 ☑️ 내 정보 탭에서 적립 예정 금액 확인도 가능해요.

 

여기까지가 판매관련 내용입니다. 


실제 정산 

이제 실제 정산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간단히 기록할게요.

 

1. 푸시알림 - 기프티캐시 적립완료

이렇게 푸시알림이 왔어요.

아래 이미지는 48시간이 지난 후예요.

 

2. 보유금액 26,400원으로 변경

알림을 터치해서 들어가면, 이제 적립예정금액이 0원으로 바뀌고, 26,400원이 적립된 걸 볼 수 있습니다. 

 

 


출금하기 

1. '출금하기' 터치

'내 정보'화면(위 화면)에서 오른쪽에 주황색 테두리 박스, 주황색 글씨를 눌러서 들어가요. 

그럼 입금 받을 계좌 정보가 뜹니다. 

여기서 오른쪽 위 '계좌변경'버튼 눌러서 변경도 할 수 있어요.

 

2. 출금신청

정보가 맞으면, 출금하고 싶은 금액을 눌러요.

저는 '전액출금'을 눌렀어요.

그리고 '출금신청'을 누르고 지급 시간을 기다리시면 됩니다.

 

☑️ 참고로 즉시출금 시스템이 아니예요.

기프티스타 F&A에 있는 출금시간 안내예요.

평일 영업일 기준(주말,공휴일 제외)으로 출금 신청 시간에 따라 입력한 계좌로 정산 됩니다.

  - 오전 8시 이전 계좌 출금신청 : 오전11시 이체

  - 오전 8시 이후 - 오후2시 이전 계좌 출금신청 : 오후5시 이체

  - 오후 2시 이후 계좌 출금신청 : 다음날 오전 11시 이체 (주말, 공휴일의 경우 그 다음 영업일)

 

참고해주세요.


☑️ 너무 당연한 이야기라 기록 안 했지만,

사용한 것 등록하면 안 되고,

등록하고 사용해도 안 되고, 그냥 상식적인 이야기는 적지 않았습니다. 

그런 일이 발생하면 거래 정지 등 불이익이 당연히 가해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댓글